청년내일채움공제대상,혜택,신청방법,중도해약환급금
잘 찾아보면 청년과 관련된 정책들이 몇 가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홍보가 부족한 탓도 있는 것 같고, 아는 사람만 알고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본인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야 하는데 아는 만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부지런히 마술을 팔아볼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라는 정부 주관 사업에 대해서 정리해서 공유해보려고 한다. 대상에 속하는 청년들은 눈을 부릅뜨고 확인하기 바란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목적은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한 청년의 초기 경력 형성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즉 청년들에게는 더 나은 이자와 복리를 통해 보상금을 제공해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은 갓 취업한 청년들이 조직 이탈 없이 장기 재직해 회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및 혜택
지원대상 청년의 조건: 만 15세~34세 청년으로 1) 제조·건설업 중소기업에 2) 정규직으로 신규(고용보험 이력이 없는) 취업한 청년기업의 조건 1)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건설업종 중소기업에 2) 위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

위와 같이 청년과 기업의 조건이 각각 충족될 때 내일채움공제 지원 대상에 속한다. 다만, 해당 사항을 충족하더라도 가입제외자가 될 수 있으나, 1)만약 이전에 청년공제에 가입한 자이거나 2)월 급여총액이 300만원을 초과한 자, 3)사업주의 배우자, 자녀관계에 있는 자, 4)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자, 5)세법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한 자(폐업 또는 휴업을 신고한 경우 제외 가능), 6)정규직 채용일 기준 소정근로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인 자 7)국내 기업의 해외법인 근무자로 채용된 8)또는 중앙정부에서 혜택을 받을 수 없다.이렇게 지원 대상이 될 경우 보전공제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일까?청년내일채움공제 혜택
청년+기업+정부가 3자 공동으로 2년간 1200만원을 적립하게 되는데 청년부담금은: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하고 기업부담금은: 기업이 청년에게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하고 정부지원금은: 정부가 청년에게 2년간 400만원을 지원하게 된다. 즉 각각의 주체가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해 총 1200만원을 만들게 되는 구조다. 여기서 정부 지원금 중 200만원은 기업지원 방식으로 기업의 가상계좌로 지급을 통해 청년에게 지원하게 되며, 청년은 20개월간 16만원씩, 이후 4개월간은 20만원을 납입해 총 24개월 2년을 채우게 된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어렵지 않다. 우선 청약 신청을 하기 전에 워크넷에 들어가 참가 신청을 한 뒤 가입 대상에 속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워크넷 메인 페이지에서 청년내일공제를 클릭한 뒤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렇게 신청을 하면 고용센터에서는 약 2주간-1개월에 걸쳐 자격심사 후 가능 여부를 알리는데, 가능하다는 확답을 받았다면 다음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참고로 청년이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전에 기업체 신청이 끝나야 한다는 사실! 확인을 받은 후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 들어가 회원가입을 진행해준다.

입사한 지 6개월 미만의 신규 입사자 또는 재직 근로자인지에 따라 위의 큰 카테고리에서 선택을 한 후 내일채움공제-청약을 눌러 차례로 진행하면 된다.
청약시스템으로 청약을 신청하고 승인을 기다려 공제부금을 적립해 가면 되는 것이다. 참고로 올해 청약 마감일은 오는 23년 12월 말일까지이며, 청약 신청부터 가입까지는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사유별 환급금 기준

중도해지는 기업 사유인지, 청년 사유인지에 따라 기준이 다르게 적용된다.
만약 기업 사유라면 중도해지 시 기업부담금은 청년에게 지급되며, 청년 사유라면 가입기간에 따라 일부는 청년에게, 일부는 기업에게 반환된다.위 표를 참고해 중도해지 사유에 따라 청년부담금과 기업기여금, 정부지원금이 각각 어떤 형태로 환급되는지 알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만약 기업 사유라면 중도해지 시 기업부담금은 청년에게 지급되며, 청년 사유라면 가입기간에 따라 일부는 청년에게, 일부는 기업에게 반환된다.위 표를 참고해 중도해지 사유에 따라 청년부담금과 기업기여금, 정부지원금이 각각 어떤 형태로 환급되는지 알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